반응형

전체 글 5452

하스텔로이(HASTELLOY) C-276 [내열합금]

- 하스텔로이 ( HASTELLOY ) 내식력이 강력한 금속으로 특히 하스텔로이는 C-276 모델이 가장 유명하게 알려져 있다. 환원성 산에 대한 내식성이 강하며 특히 염산에 강하면서 가공성과 용접성이 좋기 때문에 화학공업에서 자주 쓰이고 있는 금속의 하나이다. - 하스텔로이의 우수성 하스텔로이 B가 있으며 몰리브덴 약 30%와 철 약5%가 포함되어 있다. 비(非)산화성의 산(酸), 특히 염산에는 끓는점까지 모든 농도에서 견디며, 염화수소가스나 환원성용액에서도 잘 견딘다. 질산이나 염소 등의 산화성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개선한 것으로는 Cr을 첨 가한 하스텔로이 C가 있다. 그 외에 황산이나 인산 플루오르이온에 내식성을 가진 하스텔로이의 이름을 붙인 몇 종류의 개량합금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공성과 용접성이..

색상코드표 [컬러차트] 색상명 & 16진수 색상코드까지 한눈에

※ 원하는 색깔을 드래그해서 복사하십시오. #93DAFF #98DFFF #9DE4FF #A2E9FF #A7EEFF #ACF3FF #B0F7FF #B4FBFF #B9FFFF #C0FFFF #87CEFA #91D8FA #A5D8FA #AFDDFA #B9E2FA #C3E7FA #CDECFA #D7F1FA #E1F6FA #EBFBFF #00BFFF #0AC9FF #14D3FF #1EDDFF #28E7FF #32F1FF #3CFBFF #46FFFF #96FFFF #C8FFFF #00A5FF #00AFFF #00B9FF #00C3FF #00CDFF #00D7FF #00E1FF #00EBFF #00F5FF #00FFFF #1EA4FF #28AEFF #32B8FF #3CC2FF #46CCFF #50D6FF #5AE0F..

유익한자료 2009.02.16

시퀀스기본회로도 [자기유지회로, 지연회로, 인터록회로, 우선회로, 직입기동, 기동회로, 운전제어회로]

시퀀스회로 • 자기유지회로(自己維持回路) 자기유지회로는 푸시버튼 등의 순간동작으로 만들어진 입력신호가 계전기에 가해지면 입력신호가 제거되어도 계전기의 동작을 계속적으로 지켜주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제어계의 가장 기본이며 유지형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유지회로를 이용하는 이유는 공급 전원이 무단으로 차단된 후 재 공급될 경우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 지연회로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늦게 동작하는 회로이다. 동작이 늦고 복귀는 타이머 코일과 함께 되는 지연 동작 회로와, 동시에 동작하고 늦게 복귀되는 지연 복귀회로가 있다. • 인터록회로(INTERLOCK) 2개 이상의 회로에서 한 개회로만 동작을 시키고 나머지 회로는 동작이 될 수 없도록 하여주는 회로이다. 이 회로의 사용 목적은 기기 ..

전기로 구성에 필요한 소재별 특징 및 용도

전기로 구성에 필요한 소재별 특징 및 용도 01 . 발열체 ( 發 熱 體 - HEATING ELEMENTS ) 발열체는 열원이 전기인 간접식 저항 가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재료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케 하는 것이어야 하며, 그 저항재료로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 고유저항이 클 것. - 용융 또는 연화하는 온도가 높을 것. - 고온에서도 화학적으로 견고하고 쉽사리 산화되지 않을 것. - 압연 또는 조형 등 가공하기 쉬울 것. - 팽창계수가 적을 것. 상기 예 이외에도 발열체는 장착이 편리한 형태로 제작되어야하고 표준화되어 유지보수가 자유롭게 활용되어야 하며, 실용적이고 가격이 저렴할 것이 요구된다. 간접 식 저항가열로 ( 전기로 )에 주로 사용되어지..

제연설비 설치공사 (시방서)

1. 일반사항 적용범위 소방설비의 제연설비 설치공사에 적용한다. 시공한계 구분 소방공사 기계공사 자동제연담파 설치 설치 각세대별 차압감지관설치 설치 2. 자 재 재 질 급기댐퍼 배출댐퍼의 재질은 두께 1.5 밀리미터 이상의 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가 있는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비내식성 재료의 경우에는 부식방지 조치를 할 것. 구 조 가) 댐퍼는 개구율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나) 전동기 구동형 또는 솔레노이드 구동형 이어야 한다. 다) 평상시 닫힌구조로 기밀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라)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닫혀 있을 때의 기밀 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마) 시운전 또는 검사후에 원상복구가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바) 표시등과 수동 조작기구는 일체..

유익한자료 2009.02.16

플라스틱의 원재료-[PE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총론

플라스틱의 원재료-[PE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총론 HS # : 3901-20-9000 CAS #: 9022-88-4 1.HDPE 수급현황 1980년대 중반 이후의 호황을 배경으로 세계석유화학 산업은 1980년대 이후 향후1990년대의 수요증가에 대비하기 위한 신증설투자를 활발히 추진했다. 신증설투자는 특히 아시아, 태평양, 중동 등 개도권 지역에서 석유화학제품의 자급도 향상 및 수출확대를 대규모로 추진되고 있으며 미국, 서구 등 선진국들에서도 신중한 설비 확대를 도모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의 신증설투자로 인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경우를 보면 1990년 이후에는 공급 과잉으로 인한 가동률 저하 및 가격 하락 현상을 초래하였으..

플라스틱의 원재료-[PE (Polyethyl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총론

플라스틱의 원재료-[PE (Polyethyl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총론 HS # :3901-10-0000 CAS#: 9022-88-4 1968년에 Phillips Petroleum 사는 낮은 압력에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을 개발하였다. LLDPE고분자는 선형이지만, 부텐-1 또는 옥텐-1과 같은 단위체가 도입되어 많은 가지를 가지고 있다 1.중합법 중합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정제된 에틸렌을 고압, 고온에 중합시키기 때문에 측쇄가 많고 그 측쇄의 길이나 늘어선 모양도 일정하지 않다. 선상저밀도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2로 보통 저밀도에틸렌과 동일하지만 긴측쇄가 없고 공중합에 의해 ..

플라스틱의 원재료-[PE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총론

플라스틱의 원재료-[PE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총론 HS # :3901-10-0000 CAS#: 9022-88-4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는 1933년 영국의 ICI사 연구진들에 의해 최초로 발견되어 1930년대말에야 비로소 공업적 생산이 이루어졌다. 그 후 1950년대 LL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의 개발에 이어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VLDPE(Very Low Density Polyethylene)가 계속 소개되어 다양한 물성과 응용성을 갖는 PE제품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LDPE는 밀도가 0.910~0.925g/㎤인 분자구조가 가장 ..

한국 공구 산업의 개요 및 특징

가. 공구의 정의: 기계·기구·장치를 만들 때 사용되는 ‘연장’을 통칭하며 독립된 완성품으로서 각종 공작물의 제조, 절단, 절삭, 조립, 수리, 측정등에 사용되는 것을 말함. 나. 공구산업의 분류 (1) 한국표준산업 분류 28931 낱붙이 제조업 28933 수공구 제조업 28934 톱 및 호환성공구 제조업 29292 동력식 수지공구 제조업 29229 그외 기타 가공 공작기계 제조업(툴 호울더) 31992 자석 및 자석제품 제조업(전자 척) 33212 도안및 제도기구 제조업(측정공구) (2) 사용 재료 및 동작에 따른 분류 다이아몬드공구 내마모 고강도의 피삭체 가공(석재용, 산업용, 연마용 다이아몬드공구, CBN공구) 고속도강공구 금속의 절삭가공에 사용 (드릴, 브로치커터, 쉐이빙커터, 기어호브, 엔드밀,..

충격시험 데이터 분석

충격시험 데이터 분석 ° 시험편 파단에 필요한 에너지 - K : 시험편을 파단하는데 필요한 에너지(J) - W : 해머의 질량에 의한 부하(N) - r : 해머의 회전축 중심(中心)에서 중심(重心)까지의 거리(m) - M : 해머의 회전축 둘레의 모멘트(M.m), M = W.r - α : 해머의 들어올림 각도(°) - β : 시험편 파단 후의 해머의 흔들어 올림 각도(°) - L : 해머의 운동 중에 잃은 에너지(J) → 상세한 값을 원할 때 사용 ° 취성 파면율(B%) - A : 파면의 전 면적, C : 취성파면의 면적 ° 연성 파면율(S%) - A : 파면의 전 면적, F : 연성파면의 면적 ° 충격 시험편의 파면 구분 그림 13. 충격 시험편의 파면 1 그림 14. 충격 시험편의 파면 2 ° 가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