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업계정보 5247

선박의종류 - 화물선 > 건화물선 > 로로선 (Roro Ship)

선박의종류 - 화물선 > 건화물선 > 로로선 (Roro Ship) 자동차와 같이 화물자체가 자체 이동능력이 있는 화물(사진1), 본래의 화물인 컨테이너를 실은 트럭과 같이 운송기기가 함께하는 화물(사진2), 본래의 화물이 바퀴가 달린 트레일러에 실려있어 항구의 운송기기가 이를 배에 실어줄 수 있는 화물(사진3) 등과 같은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을 RoRo (Roll-on/Roll-off)선이라고 한다. 컨테이너선에 비해 용적의 낭비가 심하고 화물적재량은 감소되지만, 싣고 내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하역비의 절약과 옮겨 싣지 않는 데서 오는 파손, 쌓은 물건의 붕괴 및 화물 도난이 방지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화물의 종류와 수송거리에 따라서는 유리한 방식이며 특정 화물의 특정항로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RoR..

선박종류 - 화물선 > 건화물선 > 로로선 > 스토로 (Sto-ro)

선박종류 - 화물선 > 건화물선 > 로로선 > 스토로 (Sto-ro) Sto-ro (stowable ro-ro) 는 Ro-ro (Roll-on Roll-off)의 변형된 형태로 위 사진과 같이 화물을 Rolltrailer 에 실어 선내 화물데크로 이동시켜 선적하고 하역도 같은 방식으로 하지만, 화물을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Rolltrailer 에서 내려 선내 데크에 선적하는 것이 다르다. 즉, 이동차량은 돌려보내고 화물만 선적하는 것이 이동차량까지 선적하는 로로선과 다른 점이다. 위 사진은 Sto-ro 선의 사례로 화물용량은 아래와 같다. (L x B x D x d = 153.05 m x 21.60 m x 8.40 m x 7.10 m, DWT 10,000) - Hold capacity bale : 678..

선박종류 - 화물선 > 건화물선 > 산적화물선 (Bulk Carrier)

선박종류 - 화물선 > 건화물선 > 산적화물선 (Bulk Carrier) Bulk Carrier (B/C), 벌크선, 산적화물선 혹은 살물선 이라고 불린다. 위 사진 좌측은 일반적인 벌크선이고, 우측은 광탄선 이다. 곡식, 석탄, 철광석 등과 같이 포장되지 않은 균질의 화물인 Bulk Cargo 는 선박의 동요로 인해 한편으로 기울어 졌을 때 화물이 무너져 내려 한쪽으로 쏠리면 원상복구가 쉽게 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선박의 중심이동을 초래하고 복원성에 악영향을 주게되어 전복의 위험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국제 해상 인명 안전조약(SOLAS)에서 Bulk Carrier 에 대한 선박구조를 규제하고 있고, 화물적재 시에도 화물의 무너짐 방지를 위해 화물창에 화물을 가득 채우거나 화물의..

선박종류 - 화물선 > 겸용선 > OBO Carrier (Ore/Bulk/Oil)

선박종류 - 화물선 > 겸용선 > OBO Carrier (Ore/Bulk/Oil) 화물수송 수요의 다양화, 수송지역의 다변화에 대응하여 수송생산성을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해 Dry Cargo 와 Wet Cargo 모두를 운송할 수 있도록 개발된 선박을 겸용선(Combined Carrier 혹은 Combination Carrier) 라고 하며 그 대표적인 것이 OBO 이다. 이러한 선박은 선박운용에 유연성이 있어 예를 들면 중동의 석유를 유럽으로 운송하고 아프리카로 가서 철광석을 싣고 아시아로 운송하는등 화물과 항로의 선택폭이 넓다. 일반적으로 OBO(Ore/Bulk/Oil)는 원유/곡물/석탄/철광석등을 운송할 수 있도록 건조되며, OBO에서 파생된 PROBO(Product/Bulk/Oil)는 정유제품을 실..

선박종류 - 화물선 > 액화물선 > 가스운반선 (Gas Carrier)

선박종류 - 화물선 > 액화물선 > 가스운반선 (Gas Carrier)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 LNG) 혹은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 LPG)를 운반하도록 설계된 선박이며, 가스는 기체상태 보다 액화된 상태에서 훨씬 적은 용적을 차지하므로 액체상태로 운송하기 위해서는 화물창을 고압과 저온 상태로 유지하여 기화를 방지하기위해 화물창은 고압과 저온에서 오는 응력을 견딜 수 있는 특별한 강철로 구성되어야 하고 저온을 유지하기 위한 냉동장치와 보온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액화석유가스(LPG)는 프로판가스(비등점 -42 ℃) 와 부탄가스(비등점 -5 ℃)가 대표적이며 가스를 액화 시키는 방법에 따라 가압식 (상온에서 압력을 높여 액화시킴) 과 저온식..

선박종류 - 화물선 > 액화물선 > 원유운반선 (Crude Oil Carrier)

선박종류 - 화물선 > 액화물선 > 원유운반선 (Crude Oil Carrier) 액체를 용기에 담지 않고 선박의 화물창에 운반하도록 (Bulk 상태로) 설계된 선박인 Tanker 선 중에서 원유를 운반을 주목적으로 하는 선박을 말하며, 유전지역에서 선적하여 정유공장 지역으로 운송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원유운반선 중에서 특히 해저유전의 원유를 생산하고 저장하는 FPSO 등으로 부터 해상에서 원유를 전달받아 육지의 터미널로 운반하는 선박을 Shuttle Tanker 라고 한다. 원유운반선은 운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1950년대부터 그 크기가 대형화 하여 1960~1970년대에는 200,000 DWT을 상회 하는 VLCC(Very Large Crude Oil Carrier) 같이 큰 선박들이 많이 건조되었다..

선박의 종류 - 화물선 > 액화물선 > 정유운반선 (Product Carrier)

선박의 종류 - 화물선 > 액화물선 > 정유운반선 (Product Carrier) Tanker 선 중에서 정유과정을 거친 석유제품을 운반하는 선박을 말하며, 정유공장 지역에서 전세계의 석유제품 소비지로 운송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선박의 크기는 원유운반선 보다 훨씬 작으며 (주로 Panamax 이하의 크기), 일반적으로 화물창의 구획이 많으므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화물의 청정도 유지가 요구되므로 원유운반선 보다 화물창에 고품질의 도장작업이 요구된다. 다품종의 화물을 동시에 수송키 위한 설비를 갖춘 선박을 Parcel Tanker 라고 부르기도 한다.

선박의 종류 - 화물선 > 중량물운반선 (Heavy Transport Vessel)

선박의 종류 - 화물선 > 중량물운반선 (Heavy Transport Vessel) 화물의 무게, 형상, 크기 등의 제약으로 일반 화물선으로는 운송이 불가능한 화물(Project Cargo)을 운반토록 계획적으로 건조된 선박으로 Heavy Lift Vessel, Dock Type Vessel, Open Deck Vessel 등이 있다. Heavy Lift Vessel - M/V Jumbo Challenger (max. lifting capacity 2 x 500 tons, hatch size 73.2 x 10.4m) Jumbo Ship Dock Type Vessel - Dock Express 10 (LxB=158.97x32.27, D to upper deck 14.78, D to dock deck 7.0..

선박의 종류 - 화물선 > 액화물선 > 화학제품운반선 (Chemical Tanker)

선박의 종류 - 화물선 > 액화물선 > 화학제품운반선 (Chemical Tanker) 고순도의 유지가 요구되거나 부식성이 매우 강한 화학제품을 운송해야 하므로 화물창과 배관계통에 특수도장이나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고 있다. 선박의 크기는 원유운반선 보다 훨씬 작고 정유운반선 보다도 작은 선박이 많으며, 여러 종류의 화학제품의 동시 운송에 적합하도록 화물창의 구획이 많고, 화물 상호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화물창 별로 독립된 배관계통을 구성하게 되어 더욱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선박운영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유제품도 운송할 수 있도록한 Product/Chemical Tanker 의 형태가 많이 있으며 다품종의 화물을 선적하여 이곳저곳에 배달하는 Parcel Tanker 의 대표적인 경우 이다.

선박의종류 - 활주선 (Planing Hull Boat)

선박의종류 - 활주선 (Planing Hull Boat) ■ Planing Hull Boat (활주선) 활주선은 고속 운항시 선체에 발생하는 유체 동역학적인 압력 (Hydrodynamic Pressure)을 이용하여 선박의 중량을 지지하는 선형이다. 이 압력은 선체를 물에서 얼마간 떠올리는 양력으로 작용하여 저항을 줄이는 효과를 준다. 활주선은 잔잔한 수면에서는 승선감이 좋지만, 파도가 있는 수면에서는 승선감이 매우 나쁠뿐아니라 선체 구조에도 대단히 큰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현상은 선체를 V 모양으로 깊게 함으로 일부 해결될 수 있다. 활주선에는 같은 크기의 배수형선에 비해 훨씬 큰 출력의 엔진이 필요하기 때문에 선박의 크기가 제한되기는 하나 고속 경비정, 레저선, 경주선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