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자료

검(劍)의 종류(칼의종류)와 만드는 방법-소성변형

거친손 2009. 5. 27. 10:09
반응형
검(劍)의 종류와 만드는 방법-소성변형

<<검의 종류와 만드는 방법>>

검도에서 사용되는 검에는 죽도, 목검 그리고 진검이 있다. 재질로는 일반적으로 대나무, 흑단나무, 무쇠(선철의 일종) 그리고 최근에는 특수강이 사용된다. 죽도나 목검은 나무를 깍아서(절삭가공) 만든다. 진검은 무쇠를 가열하여 두들겨서(단조) 만드는데, 두들기면 재료의 조직이 치밀해지고 내부 가스가 배출돼 품질이 우수한 명검이 된다. 최근에는 특수강판(주로 SK3를 압연)을 절단 가공하여 대량 생산 하기도 한다. 단조칼은 사용할 때 검의 진동이나 떨림이 적어 특수강 칼보다 손맛이(?) 좋다고 한다.

<<소성변형에 대하여>>

진검을 만드는 단조나 압연 방법을 '소성변형' 또는 '소성가공'이라 하는데, 목검을 만드는 '기계가공' 또는 '절삭가공'과 구별되는 말이다. '소성변형'이란, 재료에 힘을 가하여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 오지 못하게 변형시키는 것을 말한다. 스프링을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 가는데 이를 '탄성변형'이라 하고, 스프링을 더 큰 힘으로 잡아당기면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 가지 못하고 영구변형이 생기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변형을 '소성변형'이라 한다. 즉, 진검은 무쇠 덩어리를 단조나 압연 후 검의 형태로 '소성변형'시킨 것이다.

<<냉간가공과 열간가공>>

진검을 만들 때 무쇠 덩어리를 가열하지 않고 두들긴다면 어떻게 될까? 가열하지 않고 철사를 구부렸다 폈다(냉간가공)를 반복하면 그 부분이 점차 단단해지고(가공경화 현상) 뜨끈해지다가(변형 저항열) 결국 끊어진다. 왜냐하면 철사를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내부의 알갱이들이(결정립자) 변형 중에 늘어나거나 부서지기도 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철사를 빨갛게 가열하여 구부리기(열간가공)를 반복하면 가공경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가열된 작은 알갱이들이 소성변형 중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스스로 풀어버리고(응력제거, 회복), 부서졌던 알갱이들은 스스로 뭉쳐져(재결정) 원래와 비슷한 크기의 알갱이로 되돌아 가기 때문이다.

즉, 무쇠를 가열하지 않고 두들긴다면 가공경화 현상이 발생하여 검의 형태로 만들기가 쉽지 않지만 가열하면 쉽게 원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것이 열간가공의 장점이다. 이 현상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검을 만드는 방법과 소성가공 분류)

 검의 종류

만드는 방법 

 죽도, 목검  절삭가공(기계가공)
 진검  소성가공(소성변형)

 ㅇ 소성가공

 1. 하중의 상태에 따라

    1)직접압축 : 단조, 압연

    2)간접압축 : 인발, 압출, 디이프로드로잉

    3)기타 상태 : 스트레칭, 굽힘, 전단 등

 2. 가열 여부에 따라 : 1)냉간가공  2)열간가공

 3. 잉고트 등으로부터 판, 봉재 등을 만드는 1차 소성가공, 최종 요구형상으로

     만드는 2차 소성가공으로 구분된다.

진검을 만드는 방법은 단조→열간가공→2차 소성가공 이다. 우리회사 봉재, 선재, 관재는 1차 소성가공으로 만들어지고, 단조, 압연, 압출은 열간가공이며, 인발은 냉간가공이다.

명검은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좋은 재료의 선정(이를 검신이라 한다), 몇 일간 반복되는 가열단조, 그리고 장인의 땀과 혼이 곁들어야 탄생된다. 명검을 만들듯 제품을 만든다면 이것이 바로 명품이 아니겠는가.



반응형